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smart contract
- 지분증명
- 댑
- 합의알고리즘
- JavaScript
- Ethereum
- 이더리움
- 스마트컨트렉트
- 블록체인
- docker
- Ehter
- solidity
- 블록체인 #스마트컨트랙트
- container
- 암호화폐
- 컨테이너
- 도커
- 디앱
- 작업증명
- Blockchain
- 스마트컨트랙트
- 폴리 브리지
- smartcontract
- 솔리디티
- poly bridge
- 비트코인
- DAPP
- layer2
- 소울바운드토큰
- crypyocurrency
Archives
- Today
- Total
Let's make Everything
[Instance 정의] 본문
728x90
# 1. Instance란?
인스턴스는 주로 하나의 컨트랙트에서 다른 컨트랙트로 접근할 때 쓰입니다.
객체지향 언어에서 객체와 비슷한 개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A컨트랙트와 B컨트랙트가 있다고 가정했을 때, B컨트랙트에서 A에 정의된 함수들을 사용하고 싶다면 A인스턴스를 만들어 B에서 사용하면 됩니다.
// SPDX-License-Identifier:GPL-30
pragma solidity ^0.8.0;
contract A{
uint256 public a = 2;
function change(uint256 _value) public {
a = _value;
}
}
contract B{
}
위와 같은 스마트 컨트랙트에서 A에 있는 변수나 함수를 B에서 사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정답은 우선 A를 인스턴스화해야 합니다.
// SPDX-License-Identifier:GPL-30
pragma solidity ^0.8.0;
contract A{
uint256 public a = 2;
function change(uint256 _value) public {
a = _value;
}
}
contract B{
A aaa = new A(); // 인스턴스화
}
위와 같이 인스턴스화를 해주시면 됩니다.
자바의 new를 이용해서 인스턴스를 만들어주는 방법과 비슷하죠?
이제 인스턴스화 했으니 접근해서 사용을 해야할 차례입니다.
다른 언어와 비슷하게 접근은 .을 이용하여 접근할 수 있습니다.
// SPDX-License-Identifier:GPL-30
pragma solidity ^0.8.0;
contract A{
uint256 public a = 2;
function change(uint256 _value) public {
a = _value;
}
}
contract B{
A aaa = new A();
function get_A() public view returns(uint256) {
return aaa.a();
}
function change_A(uint256 _value) public {
aaa.change(_value);
}
}
위의 스마트 컨트랙트에서 .을 이용하여 접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주의사항 : 변수에 접근할 때는 ()를 붙어야지 접근이 가능합니다. 위의 예제에서도 aaa.a()의 형태로 접근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인스턴스는 A컨트랙트의 분신과도 같은 존재입니다. 다시말해서 A 스마트 컨트랙트를 배포하고 인스턴스 A를 B를 통해 배포한다고 가정했을 때, 두 개의 스마트 컨트랙트는 완전히 다른 컨트랙트입니다.
따라서 인스턴스를 만들어서 변수 a의 값을 변경한다고 해도 원래의 A 컨트랙트에는 어떠한 영향도 주지 않습니다.
참고
'Solidity'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nstructor] (0) | 2023.05.29 |
---|---|
[String 타입] (0) | 2023.04.29 |
[View와 Pure] (0) | 2023.04.27 |
[Solidity 접근제어자] (0) | 2023.04.15 |
[Function정의, 사용법?] (0) | 2023.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