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암호화폐
- Blockchain
- 댑
- 작업증명
- 폴리 브리지
- 비트코인
- docker
- layer2
- Ehter
- 소울바운드토큰
- crypyocurrency
- smartcontract
- poly bridge
- 지분증명
- 디앱
- 컨테이너
- 도커
- JavaScript
- 이더리움
- 합의알고리즘
- 스마트컨트랙트
- smart contract
- 스마트컨트렉트
- 솔리디티
- 블록체인 #스마트컨트랙트
- DAPP
- container
- solidity
- 블록체인
- Ethereum
- Today
- Total
목록Block chain (24)
Let's make Everything
# 1. Defi의 개념 Defi(Decentralized Finance)는 탈중앙화된 금융으로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사람에게 열려있는 금융서비스 입니다. 기존의 금융서비스와는 다르게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중앙기관 없이 탈중앙화된 환경에서 누구나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금융서비스를 총칭하는 단어입니다. # 2. Defi와 전통 금융서비스의 비교 구분 Defi 전통적인 금융서비스 자금 사용에 대한 권한 개인 금융서비스 회사 자금 사용 내용에 대한 조회 개인이 직접 조회하고 관리함 신뢰할만한 금융회사에 의탁함 자금 송금의 범위 및 시간 국내, 국외 제한없이 빠르게 송금이 가능함 국내의 경우 빠르게 송금이 가능함 해외의 경우 절차가 복잡하고 오랜 시간이 걸림 서비스 이용에 대한 자격 모든 사람들..

1. 소울바운드 토큰이란? 소울 바운드 토큰(Soul Bound Token)이란 비탈릭 부테린이 신원 인정이 불가능한 기존 웹3.0의 결점을 보완하기 위해 제시된 개념으로 유명 MMORPG 게임인 월드오브 워크래프트에서 등장하는 희귀 아이템 '소울바운드'에서 명칭을 따왔습니다. 소울 바운드 토큰은 특정 지갑 소유자의 신원을 나타내는 정보를 담고 있으며 전송이 불가능하며 판매할 수 없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에 혹자는 소울 바운드 토큰을 NTT(Non-Transfer Token)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2.웹3.0 생태계에서 소울 바운드 토큰의 역할 - NFT NFT는 고유성을 바탕으로 위조 사례를 방지하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지만 누구나 타인의 작품을 도용하여 NFT로 만들 수 있다는 것이 현재 NF..

# 1. zk Roll-Up이란? 폴리곤 영지식 롤업은 다수의 오프체인 트랜잭션을 단일 온체인 트랜잭션으로 집계하기위한 스케일링 솔루션입니다. 폴리곤 영지식체계는 이더리움 메인넷에서 채굴하는 채굴자가 모든 롤업에 대한 유효한 증명(또는 영지식 증명)을 생성함에 개별적 트랜잭션을 확인할 필요성을 제거하였습니다. 유효성 증명은 수학적으로 증명할 수 있기 때문에 이더리움 네트워크는 배치 트랜잭션의 진위를 신뢰없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악의적인 활동을 제거하는 것이 더욱 어려워짐으로써 롤업의 보안이 향상됩니다. 더 중요한 것은 유효성 증명(또는 영지식 증명)이 메인 체인 위의 롤업 트랜잭션을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것 입니다. 사용자는 마찰 또는 지연 없이 롤업과 기본 블록체인 사이에서 자금을 매끄럽게 이..
이전 글에서 오프체인이라는 말을 적지않게 보셨을 것 입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오프체인이라는 용어에 대해 설명을 하려고 합니다. # 1. On-Chain Off-Chain을 설명하기 앞서 On-chain에 대해서 설명부터 드리겠습니다. 정확히는 On-chain Transaction으로 말 그대로 체인위에서 발생하는 트랜잭션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체인은 메인(단일)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의미합니다. 대표적인 예로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이 있습니다. 이들처럼 자체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는 블록체인 내에서 발생되어 블록에 기록되는 트랜잭션을 의미합니다. # 2. Off-Chain Off-Chain은 단어에서도 느낄 수 있듯이 On-chain의 반대입니다. On-chain이 메인 블록체인 위..

# 1. Polygon zkEVM이란? Polygon zkEVM은 암호화 영지식 증명을 사용하여 ZK-Rollup 이라고 하는 오프체인 트랜잭션 계산에 유효성과 빠른 완결성을 제공하는 분산형 이더리움 레이어 2 확장성 솔루션입니다 . ZK-Rollup은 이더리움 가상 머신과 opcode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영지식 유효성 증명을 게시하여 스마트 계약을 투명하게 실행합니다. # 2. zkEVM으로 이더리움 확장 이더리움이 DLP(분산 원장 기술)의 트릴레마를 적용받는 점을 생각했을 때 탈중앙화 또는 보안을 희생하지 않고서는 트랜잭션 한계값 이상으로는 확장할 수 없습니다. 여기서 zkEVM이 활약을 하게 됩니다. Polygon zkEVM은 기존에 존재하는 이더리움 스마트 컨트랙트의 투명한 배포를 위해 기존의 ..

# 1. Polygon 이란? Polygon은 이더리움 기반의 Layer 2 스케일링 솔루션 중 하나로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초기의 Polygon은 Matic Network으로 알려졌으며, 이더리움 네트워크에서 트랜잭션 처리 속도를 대폭 높이는 것을 목표로 개발되었습니다. Polygon은 이더리움 기반의 Layer 2솔루션 답게 PoS(Proof of Staking)방식을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블록을 생성하고 최종성을 확보합니다. 또한 이더리움의 단점인 비싼 가스비용을 효율적으로 절감하고, 빠른 트랜잭션 처리속도를 제공하여 더 낮은 수수료로 더 많은 거래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Polygon은 이더리움 네트워크와 상호운영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이더리움..

# 1. 댑(DApp)이란? 댑(DApp)이란 탈중앙화 애플리케이션의 약자로 탈중앙화된 블록체인 플랫폼을 기반으로 작동하는 앱을 말합니다. 기존의 중앙화 애플리케이션은 중앙 서버에 데이터를 저장하고 그 운용 또한 중앙 서버를 통해서 이루어졌습니다. 하지만 댑에서는 중앙 서버 없이 서버가 가졌던 신뢰와 권한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수많은 컴퓨터(노드)가 나눠서 가지게 됩니다. 댑은 스마트 컨트랙트가 도입되기 시작하면서 본격적으로 사용된 개념으로 현재는 DeFi, DAO, NFT마켓플레이스, P2E(Play To Earn)등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가상자산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댑은 탈중앙화 거래소(DEX, Decentralized Exchange)입니다. 업비트와 같은 특..

# 1. 비잔틴 장군 문제 비잔틴 장군 문제의 핵심은 '어떻게 하면 멀리 떨어져 있는 독립된 사람들이 특정 시점에 특정 행동을 하기 전에 서로 의견을 일치할 수 있느냐' 입니다. 예를 들면 비잔틴 제국의 여러 명의 장군이 타국의 성을 공격해야 한느 상황이고 장군들은 서로 멀리 떨어져있습니다. 이들이 동시에 공격을해야 함락시킬 수 있는 성이라면 장군들 끼리 서로 합의를 이루어 정해진 시간에 공격해야 하는 상황인 셈입니다. 당시에는 연락수단인 휴대전화도 없었고, 횃불같은 방법은 적에게 들킬 위험이 있습니다. 또한 사람을 보내 정보를 전달하는 것 역시 부담이 되는데요, 만약 전령을 전달하다가 적에게 잡할 수 있습니다. # 2. 비잔틴 장애 허용 비잔틴 장애 허용은 위에서 말한 바진틴 장군 문제를 블록체인 위에..